본문 바로가기

나무 부자들/나무 잘 키우는 방법

나무로 돈을 벌려면 나무를 알아야 한다 ‘나무 공부’

수목은 형태와 수형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교목과 관목 위주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교목(喬木)은 중심에 굵은 줄기가 하나 있고, 그 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며 대개 키가 높은 나무가 많다. 이에 해당되는 것이 은행나무 버즘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벚나무 목련 벽오동 자귀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모과나무 잣나무 전나무 오엽송 독일가문비 금송 등이다.

관목(灌木)은 뿌리 쪽에서 같은 굵기의 줄기가 많이 나오며 주간(主幹)이 없으며 교목에 비해 대체로 키가 작다. 회양목 수수꽃다리 무궁화 모란 라일락 철쭉 개나리 쥐똥나무 해당화 등이다.

**조경수 규격표시

*수고 (H:Height, 단위:m) : 지표면에서 수관의 정상까지의 수직 거리를 말하며 수관 꼭대기에서 돌출된 웃자람가지는 제외한다. 단, 관목의 경우에는 수고보다 수관폭 또는 줄기의 길이가 더 클 때에는 그 크기를 나무높이로 본다.

*수관폭 (W:Width, 단위:m) : 수관투영면의 양단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타원형의 수관은 최소폭과 최대폭을 합하여 평균한 것을 채택한다. 불규칙한 형태로 생긴 교목이나 관목 또는 조형목도 이에 준하며, 웃자람 가지는 제외한다.

*근원직경 (R:Root, 단위:cm) : 지표면 부위 수간의 직경을 말하며, 측정 부위가 원형이 아닌 경우 최대치와 최소치를 합하여 평균한 치수를 채택한다.

감나무,꽃사과,낙우송,노각나무,대추나무,마가목,매화나무,모감주나무,목련,배롱나무,,등나무,후박나무,능소화,참나무류, 단풍나무,산딸나무,이팝나무,자귀나무,쪽동백,칠엽수,회화나무,감나무,느티나무,모과나무,만경류 등

*흉고직경 (B:Breast, 단위:cm) : 지표면에서 1.2m 부위의 수간의 직경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쌍간일 경우에는 각간 흉고직경을 합한 값의 70%가 당해 수목의 최대 흉고직경치보다 클경우는 이를 채택하며, 작을 때에는 각간의 흉고직경중 최대치를 채택한다.

가중나무,계수나무,메타세콰이어,벽오동,수양버들,자작나무,층층나무,목백합,산사시나무,은행나무, 버즘나무,왕벚나무,은단풍 등

*지하고 (C:Canopy, 단위:m) : 수간 최하단부에서 돌출된 줄기에서 지표면까지의 수직 높이를 말한다. 녹음수나 가로수와 같이 사람들이 접근할 것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지하고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

*기타 : 특수한 형상을 가진 수목을 원할때는 그 형태를 지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근원부로부터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오는 수종은 수고와 수관폭 외에 포기를 이루는 줄기의 수를 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