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나무 유통시장의 구조는 복잡하다. 조경 수목의 생산경로는 여러 경로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간단계의 하청이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생산구조를 갖고 있다. 조경 수목의 생산단계에서 중간상인의 개입이 많아지고 하청단계가 많아질수록 생산과정에서 빠져나가는 중간이득이 크기 때문에 생산자의 판매가격이 낮아지든지 아니면 실수요자의 구입가격이 높아지게 되어 악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생산구조가 복잡해지면 수목의 품질에 대한 책임도 애매해질뿐더러 불성실한 중간상인은 운반비를 줄이기 위해서 과다적재를 행하는 등으로 수목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많다.
조경수목 생산 중간 단계에서 중간상인이 취하는 이익에 대해서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30~50% 정도의 이익을 중간 단계를 거칠 때 마다 얻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중간 이익이 사실이라면 이는 중간 단계를 거칠 때 마다 단가가 올라가는 사례가 많아진다. 그리고 이들 중간상인들은 대부분 영업장소를 개점하여 영업을 하는 게 아닌데다 거래상의 신용을 믿을 수 없는 행위가 자주 발생하여 생산유통 질서가 바로 서지 않는 예가 많다.
나무유통의 구조는 나까마라고 하는 나무 유통업자를 통한 방법과 인터넷 등을 통한 직거래 방법이 있다.
나무를 캐서 보내주는 방법, 살려는 사람이 와서 캐가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판매와 매입이 활성화 되어 있어 이를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나무 파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조경회사나 임협 등을 통해 판매할 수 있고 조경수 관련 단체에 가입해 판로를 확보하는 방법도 있다. 요즘에는 나무를 직접 팔고 살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도 있다.
묘목을 구입할 때도 가급적 농장주로부터 직접 구입하는 것이 좋다. 원하는 수종을 원하는수량 만큼 구입할 수가 있고, 나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현장을 방문하기 전 사진 등을 통해 나무 상태 등을 알아보고 방문하는 것이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나무 부자들 > 나무 잘 키우는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한 조경수 거래 (0) | 2013.06.21 |
---|---|
나무는 수입이 어렵다..해외변수 위험에서 자유로워 (0) | 2013.06.21 |
전국 가로수중 벚꽃이 가장 많은 이유..화목류(花華類) 수종이 뜬다 (0) | 2013.06.21 |
투자 순위를 정하라...농장경영에도 전략과 전술이 필요하다 (0) | 2013.06.21 |
나무로 돈을 벌려면 나무를 알아야 한다 ‘나무 공부’ (1) | 2013.06.21 |